URI와 URL의 차이가 혼동되어
개념을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한다.
URI란, Resource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.
식별자에는 Resource의 위치를 표기하기 위한 Location(URL)과
Resource의 이름을 표기하기 위한 Name(URN)으로 구성되어 있다.
* URN만으로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음

URN만으로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았으므로,
URI와 URL을 같은 의미로 이야기 하겠다.
URL은 아래 사진과 같이 구성되어있다.

- Scheme
- 주로 프로토콜 사용
- 어떤 방식으로 Resource에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규칙이다.
- 대표적으로 HTTP, HTTPS가 있다.
- userinfo
- URL에 사용자정보를 포함해서 인증하기 위해 사용
- 거의 사용하지 않음
- Port
- 데이터를 주고 받을 응용프로그램을 식별
- 데이터를 주고 받을 응용프로그램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
- Path
- 리소스가 있는 경로
- 계층적 구조
- 예) /userinfo/orderHistory, /items/iphone12
- Query
- 웹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
- 문자형태로 되어 있음
- "key=value"로 이루어져있음
- ?로 시작하고 &로 파라미터를 추가가능
- 예) /search?searchWords=banana&sortingOption=recent
- Fragment
- HTML 내부 북마크 등에 사용
- 서버에 전송하는 정보 아님
- 예) https://docs.spring.io/spring-boot/docs/current/reference/html/getting-started.html#getting-started-introducing-spring-boot
'CS 기본지식 > HTT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Status Code (0) | 2022.07.27 |
---|---|
HTTP Method 활용 (0) | 2022.07.26 |
HTTP Method(REST API) (0) | 2022.07.25 |
HTTP 개론 (0) | 2022.07.21 |
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할까? (0) | 2022.07.14 |
댓글